워크로드에 대한 가정
- 프로세스가 동작하는 일련의 행위를 워크로드라고 함.
- 적절한 워크로드의 선정은 스케줄링 정책 개발에 매우 중요한 부분
스케줄링의 평가 항목
- 스케줄링 정책의 평가를 위해 스케줄링 평가 항목(scheduling metric) 을 결정해야 함
- 반환 시간(turnaround time)
- 작접이 완료된 시간 - 작업이 도착한 시간
선입선출 (FIFO)
장점
- 단순함, 구현하기 쉬움
단점
- CPU를 많이 필요로 하지 않는 프로세스들이, CPU를 오랫동안 사용하는 프로세스가 끝나기를 기다리는 현상이 발생함 (convey effect)
최단 작업 우선 (SJF)
장점
- convey effect 문제를 해결함
- 모든 작업이 동시에 도착한다면 SJF 가 최적(optimal) 의 스케줄링 알고리즘임
단점
- 모든 작업이 동시에 도착하리라는 보장이 없을 경우에 convey effect 문제가 발생함
최소 잔여 시간 우선 (Shortest Time-to-Completion First, STCF)
-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(작업은 끝날 때 까지 계속 실행된다) 라는 가정을 완화해야함
- 가장 잔여시간이 적은 작업부터 우선적으로 실행함
- 작업 들이 동시에 도착할 경우 최적의 결과임
새로운 평가 기준: 응답 시간
- 작업의 길이를 미리 알고 있고, 작업이 오직 CPU 만 사용하며, 평가 기준이 반환 시간 하나라면, STCF 는 매우 훌륭한 정책임,
- 초기 일괄처리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의미가 있었음
- 그러나 시분할 컴퓨터의 등장이 모든 것을 바꿈
- 사용자는 터미널에서 작업하게 되어 시스템에게 상호작용을 원활히 하기 위해 태어남
- 응답시간 = 처음으로 스케줄 될 때의 시간 - 도착 시간
'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OSTEP-9] Lottery Scheduling (0) | 2023.12.26 |
---|---|
[OSTEP-8] Multi Level Feedback Queue (1) | 2023.12.26 |
[OSTEP-6] Limited Direct Execution (1) | 2023.12.23 |
[OSTEP-5] Process API (0) | 2023.12.23 |
[OSETP-2] Abstract of Operating System (0) | 2023.12.23 |